스마트아일랜드족 이란 단어는 스마트폰을 들고 소통하고자 하지만 사실은 고립된 섬처럼 되는 사람들을 의미 합니다.
스마트폰의 SNS 사용 비율이 높아 지면서 친구 또는 직장동료와 마주않아 대화를 하기보다는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면서 소셜네트워크버비스의 문자로 대화를 더 많이 하여, 실제 마주 않은 사람과의 소통이 이루어 지지 못하는 새로운 현상을 빗대어 부르는 용어가 스마트 아일랜드족 입니다.
1)
일본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는 김선영 씨(가명ㆍ30ㆍ여). 자신의 결혼소식을 알리기 위해 얼마 전 오랜만에 귀국해 단짝처럼 지냈던 대학 동창생들을 만났습니다. 즐겁게 수다를 떨고 싶었지만 몇 분이 지나자 대화가 끊어져 버렸죠. 각자 테이블 위에 올려둔 스마트폰 화면이 끝없이 반짝거렸고, 트위터나 카카오톡 문자에 실시간으로 응답하는 시간이 쉴 새 없이 이어졌습니다.
김씨는 "시도 때도 없이 날아드는 메시지를 확인하느라 대화가 계속 끊어진 데다, 답문을 보내는 친구를 서로 기다려주느라 대화가 아예 중단되기도 했다"며 "물리적으로 한곳에 같이 있는데도 서로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처럼 뿔뿔이 흩어진 느낌이었다"고 말했습니다.
2)
취업준비생 이의진 씨(가명ㆍ26)는 올 초 큰맘 먹고 스마트폰을 구매 했습니다. 취업 스터디그룹 멤버들이 스마트폰으로 수시로 기업 채용 정보를 확인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모습을 보며 정보 싸움에서 밀리면 안 되겠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요즘 이씨는 다른 고민에 빠졌습니다. 사람 만나는 것 좋아하던 그가 조금 과장해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가 될 처지에 놓인 것입니다. 이씨는 "스마트폰으로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직접 만난 느낌이 들어 굳이 따로 만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며 "집에 있는 시간이 부쩍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스마트폰 게임에도 재미를 붙인 그는 "이러다 은둔형 외톨이가 되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고 합니다.
대화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지인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대화보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문자대화를 더 많이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SNS로는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사람들과 시시콜콜한 이야기까지 주고받지만 사람들을 직접 대하는 자리에선 어색한 침묵이 흘러 버립니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에게 사이버 공간은 실세계 못지않게 중요한데, 그런 공간에서 자신이 혹시라도 소외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는 대면적인 인간관계가 약화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며 "온ㆍ오프라인상 소통이 병행해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