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곳입니다.
스파이웨어 툴 ★★★★★ http://www.spybot.info/
용도: 프리웨어 스파이웨어 검색 치료하는 프로그램
특징: 무료 업데이터 가능하며, 최신엔진으로 검색가능. 한글언어 지원
바로 다운로드하기 http://fileforum.betanews.com/download/Spybot_Search_and_Destroy/1043809773/1
울타리 ★★★★★ http://data.rodream.org/index.htm?page=down
용도: 순수 프리웨어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으로 국산 한글 프로그램 입니다.
울타리, 클릭투트윅, 개꿈라디오, Spell(인터넷 펌 방지해제프로그램), Capit(인터넷 동영상 다운로드 프로그램), 등 많은 프로그램을 프리웨어로 배포하는 순수 프리웨어 사이트 입니다.
CC클리너 ★★★ http://www.ccleaner.com/
용도: 컴퓨터 임시파일, 히스토리드을 삭제하는 프로그램
특징: 프리웨어, 한글지원
안내: 다른곳에 절대로 링크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직접다운로드: http://www.kwin.net/Date/ccsetup415.exe
( 2014년 6월 30일 Ver 4.15 버젼으로교체 되었습니다.)
트윅 UI ★★★★★ http://www.kwin.net/Date/TweakUI.zip
용도: 윈도우 셋팅 설정 프로그램
특징: 한글지원, inf 파일로 설치, 제어판에 아이콘생성, 비스타외 모든윈도우 사용가능
안내: 다른곳에 절대로 링크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V3 Lite ★★★★★ http://www.ahnlab.com/kr/site/product/productView.do?prodSeq=8&from=v3lite
용도: 바이러스 검사 및 치료
특징: 개인사용자에 한해 자유롭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안내: 64bit 환경에서 실행되는 최초의 국산 프로그램 입니다. 윈도우 7 사용시 반드시 설치할것을 권장합니다.
V3 ZIP ★★★★★ http://www.ahnlab.com/kr/site/product/productView.do?prodSeq=60
용도: 압축관리 프로그램
특징: 믿을수 있는 안철수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제작된 압축툴 입니다.
그동안, 압축툴은 개인 또는 작은 기업에서 만들어 무료 배포 했습니다.
안철수 바이러스 연구소제작하여, 광고없이 빠른 실행속도를 보입니다.
전용 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알집, 알시리즈 프로그램 ★★★ http://www.altools.co.kr
용도: 윈도우 기본설치 프로그램
특징: 필수 프로그램들로 프리웨어로 사용가능
곰플레이어 ★★★★★ http://gom.gomtv.com
용도: 동영상 플레이어 프로그램
특징: 대부분의 동영상 포맷을 지원하며, 곰TV 시청이 가능한 툴
초코 플레이어 ★★★★★ http://chocoplayer.com
용도: 동영상 플레이어 프로그램
특징: 대용량 고화질 영상도 끊김없이 재생
곰플레이어 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자랑함.
컴퓨터사양 확인프로그램 AIDA32 ★★★ http://www.lavalys.com/products/download.php?ps=UE&lang=en
다운로드 페이지 바로이동하기: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세요.
용도: 컴퓨터 사양확인 프로그램
특징: 컴퓨터 하드웨어 사양과 드라이브 링크가 되어있어 드라이브 찾기에 좋음
고글린 ★★★ http://www.gobest.co.kr/goclean/goclean1.htm
용도: 시스템 청소및 각종설정 복구프로그램
특징: 무료소프트로 윈도우 각종 찌꺼기 청소를 할수 있으며, 시스템 작동상태를 체크할수 있다.
메인보드의 온도및 펜의 RPM, 인터넷 속도등을 최적화 해서 시스템을 빠르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XFTP ★★★★ http://www.netsarang.co.kr/products/xft_detail.html
용도: 서버에 파일을 주고받는 프로그램
특징: 윈도우 7을 지원하며, UF-8 서버에 안정적으로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2011년 현재 국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며, 서버관리자들의 추천을 받은 프로그램 입니다.
언어: 한국어
TSC 악성코드치료기는 삭제 되었습니다. 업데이트 지원이 2011, 4월에 종료되었기 때문입니다.